래핑 후 관리

이 페이지는 정말 중요합니다.

옥외 게시된 필름은 자외선에 취약합니다.

자외선을 극복하고자 코팅이나 라미네이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옥외 게시된 필름은 실제 내구성과 최고 내구성이 있습니다.

자외선의 노출 정도에 따라 실제 내구성은 변할 수 있습니다.

래핑에 사용된 필름은 최고 내구성의 도달 이전에

무조건 필름 제거가 필요합니다.

반드시 래핑 시 사용된 필름의 모델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자외선 차단에 가장 효과적인 물질은 2액형 우레탄 크리어입니다.

우레탄 크리어 코팅은 필름 라미네이팅에 비해 1.5배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습니다.

카사인은 1년 이상 장기 게시가 필요한 래핑에는 필름 종류에 상관없이,

우레탄 코팅한 필름으로 시공합니다.

 

카사인_film라인업.jpg

 

CARSIGN_3.jpg

 

  • • 프리미엄급. Avery MPI 1105 RS 등 캐스트 필름 사용 시
  •  
  • 이 필름은 폴리머 가소제가 사용되고, 리무벌 점착제가 사용됩니다.
  • 이 필름의 최고 내구성은 일반적으로 10년을 예상합니다.
  • 실제 내구성은 5~7년을 기대하구요.
  •  
  • 실제 내구성은 자외선의 노출 정도에 달라집니다.
  • 차량의 부위에 따라 내구성도 달라집니다.
  • 자외선 노출이 가장 많은 지붕이나 보닛은 다른 부위에 비해 손상이 먼저 시작됩니다.
  •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의 보닛은 열 전달 때문에 지붕보다 빨리 손상이 옵니다.
  •  
  • 캐스트 필름을 사용한 래핑된 차량은
  • 5년 정도가 지나면 관찰이 필요합니다.
  • 필름 표면의 크랙이 오면
  • 무조건 제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필름 표면의 변화가 없더라도
  • 최고 내구성인 10년 이전에 필름 제거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우리의 경험으로는 필름의 종류를 떠나
  • 필름 표면의 크랙을 방치하면
  • 이후 필름 제거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 비용 발생도 증가하구요.
  •  
  • 자동세차는 가능하며
  • 고압 세차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특히 동절기의 고압 세차는 금합니다.
  •  
  • 카사인에서 제작된 래핑은 우레탄 크리어 코팅으로
  • 충분한 내구성과 방오성이 유지되지만
  • 래핑된  표면에 왁스 등으로 관리하시는 것은 100% 추천합니다.
  •  
  • • 가성비. MMC PC-160P, MMC PC-160R 등 폴리머 캘린더 필름
  •  
  • 이 필름은 캘린더 필름이지만 캐스트 필름 제작에 사용되는 폴리머 가소제가 사용되어,
  • 폴리머 캘린더 필름이라 부릅니다.
  • 주로 반듯하고 완만한 곡면의 차량에 사용됩니다.
  •  
  • 점착제는 리무버블, 퍼머넌트가 있습니다.
  • 제거성이 중요하면 리무버블
  • 점착성이 중요하면 퍼머넌트
  •  
  • 최고 내구성은 일반적으로 5~7년을 예상합니다.
  • 실제 내구성은 3~5년을 예상하구요.
  • 실제 내구성은 자외선의 노출 정도에 달라집니다.
  •  
  • 차량의 부위에 따라 내구성도 달라집니다.
  • 자외선 노출이 가장 많은 지붕이나 보닛은 다른 부위에 비해 손상이 먼저 시작됩니다.
  •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의 보닛은 열 전달 때문에 지붕보다 빨리 손상이 옵니다.
  •  
  • 폴리머 캘린더 필름을 사용한 래핑된 차량은
  • 3년 정도가 지나면 관찰이 필요합니다.
  • 필름 표면의 크랙이 오면
  • 무조건 제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필름 표면의 변화가 없더라도
  • 최고 내구성인 5~7년 이전에 필름 제거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우리의 경험으로는 필름의 종류를 떠나
  • 필름 표면의 크랙을 방치하면
  • 이후 필름 제거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 비용 발생도 증가하구요.
  •  
  • 자동세차는 가능하며
  • 고압 세차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특히 동절기의 고압 세차는 금합니다.
  •  
  • 카사인에서 제작된 래핑은 우레탄 크리어 코팅으로
  • 충분한 내구성과 방오성이 유지되지만
  • 래핑된  표면에 왁스 등으로 관리하시는 것은 100% 추천합니다.
    •  
  • • 일단 싸다. 3M IJ 1210C 모노머 캘린더 필름
  •  
  • 이 필름은 모노머 가소제가 사용된 저렴한 모노머 캘린더 필름입니다.
  • 주로 반듯한 차량에 사용됩니다
  •  
  • 최고 내구성은 일반적으로 3년을 예상합니다.
  • 실제 내구성은 1~2년을 예상하구요.
  • 실제 내구성은 자외선의 노출 정도에 달라집니다.
  •  
  • 차량의 부위에 따라 내구성도 달라집니다.
  • 자외선 노출이 가장 많은 지붕이나 보닛은 다른 부위에 비해 손상이 먼저 시작됩니다.
  •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의 보닛은 지붕보다 빨리 손상이 옵니다.
  •  
  • 모노머 캘린더 필름을 사용한 래핑된 차량은
  • 1년 반 정도가 지나면 관찰이 필요합니다.
  • 필름 표면의 크랙이 오면
  • 무조건 제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필름 표면의 변화가 없더라도
  • 최고 내구성인 3년 이전에 필름 제거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우리의 경험으로는 필름의 종류를 떠나
  • 필름 표면의 크랙을 방치하면
  • 이후 필름 제거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 비용 발생도 증가하구요.
  •  
  • 자동세차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압 세차는 무조건 금합니다.
  •  
  • 카사인에서 제작된 래핑은 우레탄 크리어 코팅으로
  • 충분한 내구성과 방오성이 유지되지만
  • 래핑된  표면에 왁스 등으로 관리하시는 것은 100% 추천합니다.

 

 

CARSIGN_1.jpg

  • 필름 수축 현상
    일반적으로 모노머 캘린더 필름에서 볼 수 있는 필름 수축 현상입니다.
    수축후 본드 라인에 까맣게 때가 타는 현상
  • 필름 제거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CARSIGN_2.jpg

  • 라미네이팅 필름 수축
    라미네이팅 필름 수축까지 볼 수 있는 캘린더 필름의 하자 결정판입니다.
    인쇄 후 충분한 건조가 안된 상태에서 라미네이팅 후 쉽게 볼 수 있는 하자입니다.
  • 그 이전에 필름 제거가 필요합니다.

CARSIGN_3.jpg

  • 필름 크랙 현상
    필름 종류에 상관없이 래핑 후 필름에서 이런 크랙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 필름의 내구성이 다했을 때 반드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캘린더 필름이 햇빛에 많이 노출되고 3년 전후면 저절로 크랙이 갑니다.
  • 그 이전에 필름 제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 이런 크랙 현상이 전체적으로 진행 됐을 때는
  • 필름 제거도 어렵고, 비용은 상승하고
  • 필름 제거시 차량 도막의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 랩핑 후 주의사항 혹은 관리

  • 사실 래핑 시공은 개인적으로 재미 있습니다.
  • 뭔가 도화지에 크레파스 대신 필름으로 그림을 그린다. 하는 느낌요.
  • 잘못 그리거나, 싫증이 나면,
  • 도화지는 구겨서 쓰레기통에 버리면 그만이지만,
  •  
  • 차량에 래핑으로 그래픽이 완성되어 있다면,
  • 폐차한다면 모르겠지만, 필요에 의해서 벗겨야 합니다.
  •  
  • 필름 제거는 정상 상태에서는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 별다른 도구없이 공임만 받으면 되는 단순한 과정입니다.
  •  
  • 하지만 내구 년한을 초과한 상테에서의 필름 제거는 정말 어렵습니다.
  • 특히 필름 표면에 크랙 현상이 일어난 차량은 정말이지 답이 없습니다.

 

타업체 시공 후 우리에게 제거 문의를 가끔 받습니다.

해당 시공 업체에 제거 문의하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하고 거절합니다.

왜냐하면 필름 재질이 캘린더 필름일 확률이 많고,

내구 년한을 초과한 필름이면, 나락으로 빠지거든요.

  •  
  • 우리가 작업했던 차량도 시공 시 이런 사항을 구두로 설명했지만,
  • 이게 반드시 지켜지지 않아
  • 라벨을 인쇄 후 보이지 않는 차량 내부에 부착합니다.

 

우리가 작업한 차량은 2~3번에 해당하지만

자외선 노출 정도에 따라 망가지는 시기도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운행을 하고 주차를 옥외에 하는 정도면 문제 없지만

운행을 별로 안하면서 자외선 노출이 심한 곳에 장기간 주차하면,

필름 모델에 상관없이 내구성에 문제가 생깁니다.

  •  

    carsign_4.jpg